기사제목 사과 강원 사과산학연협력단(단장 박성민, 강원대학교 교수)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사과 강원 사과산학연협력단(단장 박성민, 강원대학교 교수)

청정사과 안정생산기술 구축, 조·중생종 생산기반 조성
기사입력 2016.09.01 23:45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재배면적 확대로 농가소득 안정화 및 생산성향상 기대
강원 사과산학연협력단(단장 박성민, 강원대학교 교수)은 청정사과 안정생산기술 구축 및 조·중생종 사과생산 기반 조성을 사업명으로 -국내 육성품종 조·중생종 보급 확대를 통한 재배면적 확대 및 농가소득의 안정화 -고품질 다수확 재배기술 보급을 통한 생산성 향상 -병해충 관리 기술의 체계화를 통한 안전생산을 사업목표로 기술전문위원 38명으로 회원농가 121명(핵심 41, 일반 80)을 관리 지도하고 있으며 광역협력단으로 1단계 2년차다. 2016년도 추진계획 및 추진실적 □세부 실천계획 ▲명품사과 안정생산을 위한 각종 맞춤형 컨설팅 및 교육 수행 ▲노동력 절감기술 개발 및 보급 ▲소비자 선호형 고품질 중·소형과 육성 ▲생산성 향상 기술 개발 ▲품종의 다변화 유도 ▲종합 방제기술 및 무병묘목 공급 ▲사과 저장 중 생리장해 예측 제어시스템 보급 ▲사과 가공품 개발 □핵심기술 선정 ▲사과 안정생산 및 균일한 상품과 생산기술(선정동기, 타 지역에 비교하여 사과의 상품과 생산 비율이 저조) ▲노동력 절감기술을 통한 가격경쟁력 강화기술(선정동기, 적화와 적과를 위한 과도한 노동력 투여로 농가 경영비의 지속적인 상승) ▲조기 병충해 방제를 통한 청정사과 생산기술(선정동기, 청정사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 증대) 주요 사업성과 □현장애로기술 해결 ▲재배기술 ▲유통기술 ▲가공기술 □부가가치 증진 ▲브랜드 개발 ▲상품화 개발 ▲마케팅 개발 □지역특화 개발전략 ▲사업단과 각 지역별 사과재배 컨설팅 및 기술 교육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및 전문 사과재배 농가 확대로 인한 지역특화작물 산업의 활성화 ▲지대별 적합품종 선발을 통한 사과 재배 안정화 및 품종의 다양화 ▲조·중생종 재배면적을 확대시킴으로써 소득의 안정화로 사과산업 활성화 ▲중소형과 품종 확대로 다른 지역과 차별화 전략을 통한 사과 산업 활성화 □경영마인드 제고 ▲경영일지 작성 요령에 관한 교육을 통하여 경영능력 향상 ▲농업인 조직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성 달성 및 시장 교섭력 증대 ▲유통 경로별 출하전략 교육을 통한 시장대응 능력 향상 금후 주요 추진계획 □애로사항 해결 및 문제점 보완방안 ▲품종의 다양화 △강원도 재배 환경에 특화된 다양한 새로운 품종의 보급을 통한 타 지역과의 차별화 유도 및 강원도 고유의 강점 확보 ▲동해 피해 최소화 △원줄기 보온작업 기술 및 동해 방지 대목의 보급 ▲야생 동물에 의한 사과 피해 최소화 △방조망 시스템 보급을 통한 조류 피해 방지 △전기목책기 설치를 통한 멧돼지, 고라니로부터의 피해 방지 □향후 사업추진계획 ▲재배 기술 보급 △최적 화학적과 처리 기술의 개발 및 보급 ▲유통 기술 보급 △저장 중 생리장해 예측 제어시스템 보급 ▲가공 기술 보급 △사과 부산물을 이용한 가공 기술 개발 및 보급 □농산업화 추진 ▲각종 지역 행사 및 관광지와 연계된 사과 산업 활성화 ▲강원도 사과에 대한 소비자의 직접 체험 기회 확대를 통한 사과 산업 활성화 ▲사과 및 사과 부산물을 이용한 가공품의 개발을 통한 사과 산업 활성화 등이다
<저작권자ⓒ농림축산신문 & nongnews.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20320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정기구독신청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