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목 2021「귀농·귀촌을 통한 시니어경제 활성화 방안」연구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2021「귀농·귀촌을 통한 시니어경제 활성화 방안」연구

[본 보고서는 경상북도의 ‘귀농·귀촌을 통한 시니어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에 관한 최종보고서로 제출함]
기사입력 2022.04.15 23:02
댓글 1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손승진 교수.jpg



 공동연구원: 경북대학교 교수 손 승 진

 

 

경상북도 귀농·귀촌과 시니어경제의 활성화 방안

 

현재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상에 귀농·귀촌 활성화가 균형발전 전략과 추진목표로 뚜렷이 드러나 있지 않음. 마을소멸, 지역소멸은 이제 국가적 위기 상황으로까지 현실화되고 있음. 경북도의 경우 가장 지역소멸 위험 지역을 많이 보유한 지역으로서 일정한 수준의 인구 규모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 및 농촌인구 고령화로 인한 농업 위기의 해소 등 귀농·귀촌의 유익이 다른 어느 지방정부보다 절실한 입장에서 지원사업의 발굴 및 적극적 추진 그리고 그 효과성에 대한 각별한 모니터링이 요망됨.

 

 

▪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농촌인구 격감 및 지역소멸에 대응해 대도시 은퇴인구 및 청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귀농·귀촌인 유치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귀농·귀촌인

 규모가 2010년대 이후 매년 급속하게 증가. 최근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잠시 정체 국면이었으나 2020년 작년 다시 상승하는 추세.

*귀농·귀촌의 가파른 증가세가 시작되는 2010년도는 55년생부터 63년생까지의 1차 베이비부머의 세대가 청장년기 종사해오던 1차 직장을 퇴직하는 평균연령과 맞물려 있다는 점 및 기타 사정을 감안해 볼 때 우리나라의 귀농·귀촌 트랜드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 따라서 베이비부머 세대의 인구특성 및 규모가 귀농·귀촌의 향배 추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판단됨.

*우리나라 베이비부머 세대는 그 이전 세대와 비교해 고령인구로 편입된 이후에도 산업화의 역군이었던 생애 경험 및 자산과 교육, 노동 기술의 특성상 생산인구로의 활동 가능성 높은 집단. 이 세대의 귀농·귀촌이 지속적으로 확산하여 준다면, 그 효과는 지역경제의 활성화는 물론 인구 격차 감소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그런 만큼 이들을 겨냥한 보다 적극적인 정책추진의 필요성이 제기됨 (향후 20년간 인구의 1/3에 해당하는 이들의 향배가 국가 균형발전의 핵심 키 역할을 할 전망)

*지난 10여 년간 은퇴 연령에 접어드는 베이비부머들은 활발하게 귀농·귀촌을 했으며 대다수가 귀농·귀촌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에 따라 귀농·귀촌은 국가사회적 유익뿐만 아니라 본인들에게도 일단은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함. 

 *최근 귀농산어귀촌 생활이 생활비용의 절약과 아울러 소득 활동을 더 오래 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전원생활을 모티브로 하는 방송이나 유튜브 프로그램이 부쩍 많아지는 추세이고, 그런 만큼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귀농어산귀촌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하는 양상.

*한편, 정부는 지역의 인구 및 농업자원의 격감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정부는 2015년 「귀농어·귀촌법」을 도입하고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

 수립을 의무화는 등 각종 지원정책을 본격적으로 도입・시행하기 시작했으며, 지역별로 일제히 관련 조례를 입안하며 사업을 독려하며 경쟁적으로 귀농귀촌인 유치에 나서고 있는 실정. 

*지금까지 정부 주도로 농귀촌인을 위한 다양한 특혜와 감면 제도 등이 시행 중이지만, 시행 취지에 비추어 자리를 잡지 못한 사업도 있고, 추가되어야 할 정책지원도 있을 뿐만 아니라 더 가열찬 귀농·귀촌 트랜드의 견인을 위하여 특히 경북지역에 잘 맞는 특화된 귀농·귀촌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절실. 

*특히 지금까지의 귀농·귀촌정책이 귀농·귀촌인의 유치과정에 초점이 있다면 이제는 정착지원으로 관심을 이동해야 할 시점. 즉 일단 귀농·귀촌한 이들이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지역민과 융화하는 문제, 문화생활 접근성과 인프라에 관한 문제, 소득 활동의 여건 문제, 의료인프라와의 접근성 문제 등이 제기되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소속감과 연대 의식을 가꿀 수 있는 지역 커뮤니티 형성이 귀농·귀촌의 신규 유입 및 재유출을 방지할 관건으로 지적되고 있음. 

*한편, 대학은 입학자원이 고갈되는 상황에서 지역의 기업들과 R&D 공유 등 산학협력은 물론, 지역 연계형 사업의 거점기관으로서 그 기능과 역할을 확대해나감으로써 활로를 열어가야 할 상황.

 *따라서 지역단위의 귀농귀촌인의 정착을 위한 각종 사업 및 정책을 활성화하는데 지역대학의 지적 자원과 역량을 활용하는 방안에 더욱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 대학을 귀농귀촌인의 일자리·복지 생태계 조성과 지역 정착에 관한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을 집중 조명할 필요가 있음. 

*다른 한편 지금까지의 귀농·귀촌정책이 도시거주민과 귀농·귀촌인의 이분법에 근거한 대안들이었다면, 최근 일본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이른바 “관계인구론”은 도시와 농촌과 도시의 이중거주민 개념을 통해 도시와 농어촌 양쪽을 모두 활력화하는 개념으로 주목. 이런 관점에서 한국 실정에 맞는 관계인구론적 제도정책들을 제안하고자 함.

*경북도의 경우 가장 지역소멸 위험 지역을 많이 보유한 지역으로서 일정한 수준의 인구 규모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 및 농촌인구 고령화로 인한 농업 위기의 해소 등 귀농·귀촌의 유익이 어느 지방정부보다 절실하다는 입장에서 지원사업의 발굴 및 적극적 추진 그리고 그 효과성에 대한 각별한 모니터링이 요망됨. 

*이에 이 연구는 기존의 지원제도들을 평가하여 개선안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방향성을 추가 모색하며 그 효과를 측정하는 등 귀농·귀촌 확대를 위한 종합적인 정책제언을 담고자 함.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제2차 경상북도 귀농·귀촌 종합계획(2022~2026) 수립 등 보다 구체적인 경북도의 귀농·귀촌 관련 정책과 사업의 추진을 염두에 두고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함.

귀농·귀촌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  패러다임 전환의 방향 제언

▴ 귀농·귀촌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코로나 팬데믹의 위기 상황과 급속한 기후변화의 체험 속에서 전 세계적으로 식량안보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음. 코로나 2.0, 3.0시대가 오지 않는다는 법이 없는 만큼 식량자원의 확보는 10년 후 미래를 보면서 국가 전략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 

 *특히 우리나라는 인구의 자연 감소와 저출산고령화, 제2의 이촌향도 현상으로 지금 지역의 마을들이 급속히 황폐화되어가고 있음. 이러한 문제들을 최대한 늦추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저밀도의 농어촌개발이 필연적이며 특히 귀농·귀촌정책을 전략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 특히 어느 정도 투자할 수 있는 자산을 가진 베이비부머의 선도적 역할을 끌어내고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청년 귀농·귀촌과 농창업도 함께 활성화할 수 있을 것임.

▴ 귀농·귀촌정책의 정책방향 제언

가-국가균형발전 전략으로서 귀농·귀촌정책으로 승화

-현재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상에는 귀농·귀촌 활성화가 균형발전 전략과 추진목표로 뚜렷이 드러나 있지 않음. 마을소멸/지역소멸은 이제 국가적 위기 상황으로까지 현실화되고 있음. 

-귀농·귀촌 활성화를 국가적 균형발전 정책목표로 두고 귀농·귀촌 선호도, 소멸지수 등을 감안하여 “귀농·귀촌 특구”를 지정하여 집중 관리할 필요가 있음. 농촌융복합산업 정책 등과 연계하여 사회적 경제단체, 활동가, 지역대학들로 지속가능한 순환형 생태계를 조성해야 함.

-귀농·귀촌 주택의 경우 1가구2주택에서 제외하는 특례범위의 확대, 농촌 빈집 활용 강화, 복합거주구역 지정/개발 등을 종합적으로 연계해서 정책수단을 동원할 수 있도록 정부 소관부처와 추진체계를 융합적으로 개편하고 국가균형발전특별법과 귀농어ㆍ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등을 개정해야 할 것임. 

나-귀농·귀촌 유형별 맞춤형 지원패키지 개발

-마을별로 특화된 생산작목이나 역사/문화적 자원들이 있다면 이를 문화적 매개체를 통해 클러스트화된 마을 만들기가 필요함. 마늘, 고추 등의 특화작목이 있는 마을일 경우 마늘을 주제로 하는 카페, 가공공장 등 융복합 6차산업화 등을 통해 참여업종과 활동가들을 다양화한다면 귀농·귀촌인들의 유인(경제적 소득 측면)이 활성화될 소지가 큼.

- 이러한 클러스트화와 공동체 확대를 통해 복지, 교육 등의 인프라도 확대될 수 있음. 여기에 원격의료를 통한 농어촌 1가구 1병원 매칭 등 과감한 시책들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귀농·귀촌인들의 희망, 역량 등을 단계별로 맞추어 대중소의 규모별, 귀촌인 텃밭 등 세밀하게 유형별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이를 위해서는 귀농·귀촌 전문 설계사와 코디네이터들을 양성하거나 사회적 농기업 등을 양성하여 초기단계에서부터 멘토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   

▴ 자치단체 귀농·귀촌시책 개선방향

가-준비단계

-광역지자체(시·도)와 기초지자체(시·군)도 귀농·귀촌 협업체계를 강화해야 함. 귀농·귀촌 지원사업의 특성상 연계성 있는 지원사업 추진이 필수적임. 그런데 현재는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가 각 사업을 별개로 추진하고 있는 경우가 많음. 도와 시·군 통합플랫폼 구축과 협의체를 구성하고 피드백 체계를 마련한다면 도에서 구상한 기본계획과 연계성을 가지는 시·군의 특이사업들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됨.

-다음으로 기초지자체는 귀농·귀촌인 지원을 위한 환경을 구체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음. 현재 귀농·귀촌에 많은 관심을 가지는 기초지자체는 관련 지원 조례를 제정하여 사업을 운영 중임. 그러나 일부 지자체는 지원의 방향만을 설정하는 등 형식적으로 조례를 제정한 사례도 있음. 따라서 지역 특성과 시책들을 반영하여 세부적인 조례, 시행규칙 등을 정비하여 귀농·귀촌 지원사업을 위한 실질적인 초석을 마련해야 할 것임. 

나-정착·성장단계

-먼저 광역지자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정주환경 개선이 필요함. 실태조사에 따르면 농촌 정주환경 미흡은 귀농·귀촌과 관련된 주요 애로사항으로 꾸준히 지적되고 있음. 다만 무분별한 개발은 지양하고 농업·농촌의 다원적 가치를 보전하는 친환경적 개발이 필수적일 것임. 신재생에너지 도입, 친환경 이동수단 보급, 친환경 자원순환시설 건립 등이 그 예일 것임.

-정주환경 개선에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므로 온라인 구축기반을 활용하여 개발 시, 효율적인 환경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ICT 기반을 통한 온라인 교육체계 구축, 사회적경제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를 통한 생태계 강화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지역사회 기반조직을 활용함으로써 개발에 따른 효용이 지역에 귀속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지역주민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관련시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임.

-다음으로 기초지자체 중심으로 지역특색 귀농·귀촌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 귀농·귀촌 선도 지자체가 특색있는 프로그램을 만들면 타 지자체에서 이를 벤치마킹하는 사례는 다수 있으나 앞으로 지역 특색을 기반으로 한 6차 산업형 귀농·귀촌 프로그램 개발이 필수적임. 

-각 자치단체, 지역대학들과 사회적경제 주체들이 협력하여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함. 귀농·귀촌 준비를 위한 실습지 조성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지역대학과 지역농협은 실습지를 제공하고 사회적 경제주체·지자체는 숙소를 제공하는 장기적인 체류형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을 것임. 또한 사회적 경제주체가 실시하는 사업, 지역복지사업 등에 일자리 창출과 연계된 프로그램 개발도 가능할 것임. 이러한 연대가 지자체의 특색있는 사업추진과 결합한다면 더욱 효율적인 귀농·귀촌 활성화가 가능함.                      -중 략-


결  론

▪  경북 귀농·귀촌인의 규모와 사회적 편익 추정

*이 절에서는 앞서 4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경북 귀농귀촌 활성화 방안이 촘촘하게 시행되면서 경북이 특급 귀농귀촌 지역으로의 명성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제하에 향후 10년간 어느 정도의 귀농귀촌인의 이주가 가능하며 또 그로 인한 사회적 편익은 얼마나 될 것인가를 추산해보기로 함.  


▪  향후 10년 간 경북지역 귀농·귀촌인의 규모 추정

*전남이 상대적으로 귀농·귀촌인구 규모 자체도 경북 다음으로 크고 2020년에는 드디어 귀농·귀촌인 수에서 경북을 앞지르기 시작함. 이는 귀농·귀촌의 시작 단계인 2010년 이전부터 지금까지 절대 규모에서는 경북에 뒤지지만, 증가 속도에서는 경북보다 앞서 있었던 흐름의 연장선상에서 어느 정도 예견된 현상이라고 볼 수 있음. 

*수도권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는 2015년 기준, 805만명. 55%인 440만명 정도가 지방에서 출생했고 이들은 이농향도의 시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주로 수도권으로 이주. 이들 중 호남은 약 150만 명이 영남에서는 113만 명이 이주 상대적으로 호남은 호남 베이비부머는 전체의 48%가 수도권으로 이주했지만, 영남은 22%만이 이주한 것으로 나오는데 그 차이는 호남보다 영남이 영남권 내 대도시로의 이주 기회가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

*이들 중 얼마나 더 많은 TK지역 출향민 베이비부머가 경북으로 유입할 것이냐는 문제가 경북 귀농·귀촌정책의 성공여부를 좌우할 변수임. 그 규모의 추정이 관건인데 쉽게 예단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지만, 편의상 그 규모를 추정해 보면 경북 출신으로 수도권 거주자가 다시 경북으로 U자형이나 J자형 귀농·귀촌을 할 인구 규모를 전체의 30%로 가정하면 경북으로 유입 가능한 인구는 약 32.7만명 수준임. 다만 이미 1차 베이비부머의 다수는 이미 귀농귀촌을 한 상태이기 때문에 남은 숫자는 그 절반을 좀 넘는 수치로 기대.

*여기에 대구나 울산 그리고 부산으로 나간 이농인구의 귀농·귀촌을 합하면 또 그 정도의 인구를 보탤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해 볼 수 있음. 왜냐하면 베이비부머 연령계층의 이농 당시 호남 베이비부머들은 48%가 수도권으로 가는 대신 영남 베이비부머들은 22%만 수도권으로 이주했고 나머지는 영남권의 도시들 대구, 포항, 구미 등 대구 경북권을 물론 부산, 울산, 창원 등지로 기타 영남지역 일자리를 찾아 이농했기 때문. 

*(경북의 귀농귀촌인구 규모 추정) 이도행촌의 때를 만나 귀향하는 연어처럼 귀농귀촌하는 베이비부머 인구의 모집단은 수도권과 영남권 중대도시로 나간 출향민 베이비부머, 이 두 집단이며 그들 중 약 30%가 귀농귀촌을 하면 향후 10년여 기간 동안 경북으로 귀농귀촌할 인구의 규모는 대략 약 60만 명대로 추정하고자 함. 물론 귀농림어업인으로 집계될 인원은 그 중 전국적으로 약 4%대이며, 경북은 귀농인 비중이 높은 지역으로 그보다 많은 인구일 것으로 봄.

*전체 이농향도인의 30%로 잡아본 것은 현재 은퇴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여러 의식조사에서 귀농·귀촌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하는 인구비율은 70%대를 상회하는 수준임에도 실제 계획을 가진 인구는 10%대인 점을 고려할 때 다소 과도하다고 볼 수는 있음. 그러나 지금까지 들어온 제1차 베이비부머 집단이 이미 23만 명 정도 되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 들어올 인구인 제2차 베이비부머 집단이 조금 더 크다고 본다면, 약 60만 명 대 규모로 추정한 것은 그렇게 비현실적인 것은 아니라고 봄.

*지금보다 더욱 촘촘한 귀농귀촌지원 정책으로 이주와 정착을 뒷받침하고 그 결과 귀농귀촌인들이 삶의 만족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가운데 시니어경제의 활성화가 귀농귀촌의 결과물로서 널리 인지되기 시작한다면 이러한 목표치를 달성은 결코 비현실적인 것이 아님을 강조하고자 함. 거꾸로 이러한 수치를 차후 귀농귀촌 정책의 목표로 삼아 추진할 것을 제안함.

▪  경북의 귀농·귀촌이 가져올 사회·경제적 효과

*(농가소득 증대 등 경제성장 효과) 매년 6만명 대의 주민수 증가로 나타난 경제성장 효과 측정은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함. 다만 여기에는 귀농귀촌으로 인한 농업 등 산업 분야의 소득증대 효과는 물론, 지역소비 활성화 효과와 주민수 유지를 통한 재정수입 보전 효과 등을 포함해야 할 것이라고 보며, 그 규모가 귀농귀촌지원 정책의 사업비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인 사업수행이 요망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함. 

*(귀농귀촌이 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 화폐 수량으로 계산되는 경제적 효과 이외에도 귀농귀촌으로 인한 도시와 농촌의 환경개선 효과를 생각해볼 수 있음. 사회적 편익이라는 이름으로 추정해 보고자 함. 즉 눈에 보이는 가시적 화폐경제 증대 효과 이외에 눈에 안 보이는 교통혼잡비용, 환경오염 비용 등을 수량화할 수 있다면 이 또한 사회적 비용의 하나로서 고려해 정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임

*(귀농귀촌의 사회적 편익분석 연구) 이 문제와 관련하여 여러 관련 연구들과 언론 기사들이 인용하고 있는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나온 김경덕·홍준표·임지은의 2012년 보고서, <귀농귀촌 사회적 편익 분석 연구>라는 연구용역 보고서임. 앞서도 잠시 언급되었지만 이 보고서에 따르면 도시민 한 명이 농촌으로 이주하는 데 따른 도시환경 개선의 사회적 편익은 연평균 169만원 수준이며, 귀농귀촌에 따르는 농촌환경 개선효과는 가구당 338만원의 순편익을 유발하는 것으로 계산됨.

*(경북의 귀농귀촌이 유발할 사회적 편익 총액) 위 이 보고서는 향후 10년간 약 60만명 규모의 귀농귀촌을 기대하며 정책의 목표로 삼을 것을 제안하는바 대략 매년 6만 명대를 잡아 편익을 계산해본다면, 유출 대도시의 환경개선 효과는 매년 1,010억 4천만원이며, 유입 농촌의 환경개선 효과는 매년 2,028억 규모로 산출됨. 


▪  귀농·귀촌사업 확대를 통한 시니어경제의 활성화

*이 절에서는 이 보고서에 제안된 정책제언들의 추진과 함께 가장 기대되는 사회경제적 효과로서 나타날 시니어경제의 활성화에 대해 살펴보기로 함. 시니어의 역량 강화 측면, 시니어 소득 및 일자리 창출 측면, 그리고 시니어 지역 기여의 측면을 나누어 살펴보되 앞서 4장에서 제시한 귀농귀촌 활성화 방안과 연결 지어 고찰하기로 함.


▪  귀농·귀촌 정책의 확대와 시니어 역량 강화

*현재 한국 사회에서 귀농귀촌을 해온 집단의 평균연령은 시니어 연령으로 접어들고 있음. 도시지역에서라면 65세 은퇴 연령을 넘기면 보건복지 정책의 대상으로 편입되면서 일반적으로 생산인구로서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으로밖에 허용되지 않음. 그러나 귀농산어촌인들에게 6070은 결코 일에서 물러날 고령이 아님. 4장에서 제안된 정책들을 기반으로 귀농귀촌 사업의 효과로서 시니어 인구의 역량이 강화되는 측면을 보기로 함.

*(지역 적응과정에서 확보하는 삶의 활력) 앞서 이 보고서 4장에서 귀농귀촌을 촉진하기 위해 중년마을 SOC 사업과 전통을 담은 미래 마을 사업을 제안했고, 빈집뱅크를 활용한 주거문제 개선책도 제시했음. 이는 귀농귀촌을 해오는 도시민들이 이주해오는 농촌지역에서의 보다 안정적이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누리게 하기 위함임. 이러한 사업들은 지역의 시니어경제를 활력화하는 주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함. 즉 집과 농지를 매입하고 취향에 맞게 리모델링을 하는 등 지역에 정주하는 과정은 경제적으로도 새로운 투자이며, 그 자체로 일과에 쫓기며 살아온 도시민들에게 새롭게 도전하는 과정으로서 새로운 삶의 활력소를 발견하고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으로 보고되고 있음.

*(평생교육과정을 통한 역량강화) 앞에서 본 4장에서 살핀 귀농귀촌인들에 대한 평생교육 강화의 필요성과 함께 이를 지원할 다각적인 방법론적인 모색이었음. 도시에서는 증대되기 어려운 6차 산업 분야를 필두로 인구 고령화가 더욱 격심한 농촌의 특성상 더 빠르게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고령인구 돌봄서비스 분야’에 급속히 확대될 일자리를 전직 노동 기술을 보유한 베이비부머 귀농귀촌인들이 담당할 가능성은 매우 높은 상황. 따라서 4장 평생교육 확대에서 제안한 대로 ‘농업 기반 고급기술교육’과 ‘마을리더로서의 소양교육’,‘전직을 활용한 노동기술을 살린 지역일자리 교육’등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늘어나는 지역 융복합 일자리에 적응하게 하는 디딤돌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 


▪  시니어 소득 및 일자리 창출

*(농림어업 및 관련 분야 소득창출 활동) 앞서 4장에서 제안한 ‘중년마을 만들기 SOC 사업’은 귀농귀촌의 의미를 유유자적하는 휴양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중년 이모작의 출발이라는 관점에서 조망하고 있음. 즉 귀농귀촌인을 위한 전원마을의 조성에 가장 핵심은 소득 활동의 보장이라는 점을 강조하였음. 아울러 일종의 농촌어메니티 운동이라 할 수 있는 ‘전통을 담은 미래 마을 만들기’사업 역시 기존 마을의 콘텐츠나 특산물을 활용해도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자는 데 그 목적이 있음. 따라서 이들 사업을 중심으로 그동안 귀농귀촌인의 일부에게만 기회가 열렸던 농업, 어업 및 임업 분야 직업인으로의 이동이 활짝 열릴 때 귀농귀촌인을 중심으로 한 일자리창출과 소득증대는 크게 의미 있는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함.

 

 

<저작권자ⓒ농림축산신문 & nongnews.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12770
댓글1
  •  
  • Pseurce
    • Used what I had at home for tonight which was fiesta blend shredded cheese, roast chicken I ll save the chicken gelatin for the pills and liverwurst instead of putting on their dinner next month a bit of butter to hold it all together <a href=http://levitr.sbs>levitra barata</a> The beta lactam inhibitor, sulbactam, does not completely render these organisms susceptible to ampicillin
    • 0 0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정기구독신청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top